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5)
수업을 하는 교수 vs 강의를 하는 강사 수업의 경우 수업의 경우, 비록 학생들의 기초 실력이 다양하더라고 이들의 학문적 성숙도는 비슷하고 동일한 학습 목표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교수자가 수업을 준비하기가 비교적 수월합니다. 강의의 경우 청중이 매우 다양합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강의를 할 때는 아이들부터 나이 많은 어르신들까지, 강의 주제에 대해 초보자부터 준전문가까지 함께 섞여 있는 경우가 흔합니다. 누구의 수준에 맞출 것인가를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강사는 청중에 대한 사전 지식을 얻으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수업을 하는 교수 수업 시 교수자는 'sage on the stage'가 아니라 'guide on the side'가 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교단 중심에 우뚝 선 지도자가 아니라 학생 곁에서 돕는 가이드가 되어야 합니..
나는 블로그 글쓰기로 평생 월세 받는다. (#3) 유튜브 시대에도 블로그를 운영해야 하는 이유 동영상 기반의 유튜브는 텍스트 기반의 블로그를 압도했다. 지금이 동영상 시대라는 사실을 누구도 반박할 수 없다. 실제로 전세계인의 유튜브 컨텐츠 소비시간을 하루 10억 시간에 달할 정도로 어마어마하다. 그렇다면 '블로그는 이제 쓸모없지 않은가?', '유튜브 마케팅이 대세인데 굳이 블로그를 해야 할까?' 하는 질문을 할 수 있다. 블로그에 새로운 기회가 있다. 블로그 마케팅이 차지하는 국내 시장 규모는 아직도 크다. 유뷰브가 대세라고 해도 텍스트 기반의 마케팅은 여전히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사람들의 검색 패턴을 보아도 블로그 검색 키워드가 따로 있고, 유튜트 검색 키워드가 따로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10 업데이트 강제 종료하는 법'이라는 키워드는 블..
스마트 팜 로봇이 만드는 미래의 먹거리 2세대 농업 혁명의 시작 앞으로의 농업 종사자들은 2차 농업 혁명을 개척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미래 농업은 식물에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토양, 수경 재배 또는 수기 재배를 사용하여 수직 스택에서 농산물을 재배하는 관행입니다. 지역적으로 효율적으로 재배되고 잠재적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더 적은 겉보기에 고품질 농산물을 통해 이 산업은 지속 가능한 농업 방법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에 대한 유망한 해답으로 보입니다. 시장은 2018년에 23억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투자는 2015년과 2016년의 6천만 달러에서 2017년과 2018년에는 4억 1400만 달러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은 수직 농업 회사가 직면한 문제와 순서대로 이를 극복할 전망입니다. 이 산업의 생존 가능성..
우리에게 친숙한 브랜드 공간 이야기 (2) 아모레 성수 미와 건강이 공존하는 아모레퍼시픽 대힌민국을 대표하는 뷰티브랜드 중 하나로 서성환 회장의 어머니이신 윤독정 여사께서 동백머릿기름을 판매하던 것을 계기로 1946년 태평양화학공업사를 설립하였다. 아모레퍼시픽의 뿌리는 창업자 장원 (粧源) 이후 ‘미’와 ‘건강’이라는 기업가치를 두고 성장하였는데, 아모레라는 토종 브랜드를 내놓으며 1945년 지금의 아모레퍼시픽이 탄생한다. 현재는 서경배 회장이 '인류봉사', '인간존중', '미래창조'의 이념으로 운영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유튜브 브이로그에서도 가끔 직장인의 하루에서 나오는 것을 본 적이 있는데, 회사 내부 복지 시설이 참 잘되어 있었다.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100 주소에 사옥을 지은 지 얼마 안 되었기 때문에 건물 자체도 깨끗하고 쾌적한 업무환경을 엿..
비정년트랙, 일반대학교 평균연봉 정년트랙과 비정년트랙이 공존하는 한국의 대학교 정년트랙과 비정년트랙을 쉽게 설명하면 기업에서의 정규직과 계약직이라고 볼 수 있다. 연봉에서도 비정년 트랙은 정년트랙의 최대 70%까지만 받는 것이 대부분이고 각종 인센티브, 상여금, 복지등은 해당 사항에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연봉으로만 책정된 돈을 월급으로 받는다. 교수신문에서는 2021년 사립대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이하 비정년트랙)의 평균연봉을 정년트랙 전임교원과 비교하여 분석 하였는데 평균 연봉이 일반대 3천871만 원, 전문대는 3천687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힘든 현실이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윤영덕 의원실이 지난 국정감사 때 교육부로부터 받은 ‘2016~2020년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이다. 윤 의원실은 전국 사립 일반대 15..
우리에게 친숙한 브랜드 공간 이야기 (1) 젠틀 몬스터 작은 영어캠프 회사에서 시작된 토종 선글라스 브랜드 GENTLE MONSTER "계속해서 바뀌는 트렌드에도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제품과 서비스가 무엇일까?" 라는 의문점에서 찾은 게 바로 '안경' 이었습니다. 2011년 국내 첫 론칭을 한 젠틀 몬스터는 다음과 같이 고민합니다.사람에게 누구나 내재된 욕망이 있고 그것이 바로 몬스터적인 부분 이라며 점잖다는 뜻의 '젠틀‘과 괴물을 의미하는 '몬스터‘를 합쳐 '젠틀 몬스터‘로 브랜드 네이밍을 했습니다. GENTLE MONSTER의 IDENTITY는 ‘도전정신’ 이었습니다. 일종의 섞임을 담고있는 GENTLE MONSTER는 내적 폭력성을 뜻하기도 합니다. 무언가를 해보기 위해서 나의 어떤 걸 희생해서 하는 신념이 몬스터적 이라고 생각을 한 것입니다. 그 신념..
[디자인 장소] 문화 생태계를 만들어내는 상업 공간 - 홍콩 K11 18 Hanoi Road, Tsim Sha Tsui, Kowloon, Hong Kong (852) 3118 8070 10:00 am – 10:00 pm enquiry@k11artmallhk.com 문화 콘텐츠의 힘을 실질적으로 느낄 수 있는 공간은 홍콩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단편적으로 쇼핑하는 시간과 예술을 경험하는 시간의 융합을 주제로 한 홍콩의 K11 Musea는 A급 오피스 공간보다 33%나 비싼 임대료에도 불구하고 97%의 임대율을 보이고 있다. 이 시설의 성공비결은 현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흥미를 느끼는 주요 콘텐츠를 한 곳에 다 모아두고 쇼핑 경험과 절묘하게 결합했다는 데 있다. 스토어 큐레이션을 통해 선별된 리테일 공간은 물론이고 건축 투어, 공연, 체험 클래스 등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지금은? 공중전화부스가 전기오토바이 배터리 충전소로! 최근 기후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탄소배출 및 미세먼저 저감에 대한 각종 국제적인 대응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기후위기의 강력한 해결책으로 전기를 이용한 새로운 이동수단인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유럽의 자동차 판매 회사들은 2021년 이미 탄소 배출량 페널티를 피하기 위해 2021년까지 220만 대를 판매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 저감 및 지속가능한 친환경 정책들이 더욱 엄격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기업들은 이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한편 전기자동차 중심으로 이슈화되었던 탄소저감 운동은 전기오토바이에도 확산되고 있다. 기존의 오토바이 회사들은 탄소 배출량이 제로인 전기오토바이 판매를 대폭 늘려야만 앞으로의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