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익대 미술대학 산업디자인과 공간디자인전공
https://cfa.hongik.ac.kr/front/boardlist.do?bbsConfigFK=2&searchLowItem=6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 산업디자인과
산업디자인과는 기반지식인 사용자 및 인터렉션 심층연구, 브랜드 서비스 기획, 글로벌산업 지식과 스킬을 저변으로, 모빌리티(Mobility), 공간(Spatial), 제품(Product) 전공 분야의 트랙으로 구분되어
cfa.hongik.ac.kr
<커리큘럼>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기초입체 (1)
기초평면 (1)
디자인사
컴퓨터그래픽스입문
자유연상과 표현기법 (1)(2)
|
제품폼팩터스튜디오 (1)(2)
공간폼팩터스튜디오 (1)(2)
모빌리티폼팩터스튜디오 (1)(2)
디자인진로탐구
디지털입체심화
UX분석과 응용
디지털입체실무도면
실무드로잉
혁신방법론과프로세스
|
제품프로토타이핑스튜디오 (1)(2)
공간프로토타이핑스튜디오 (1)(2)
모빌리티프로토타이핑스튜디오 (1)(2)
인터랙션인터페이스
서스테이너블디자인구현
산업브랜딩과시각화
융복합가상인터렉션
취창업포트폴리오
|
제품애플리케이션스튜디오 (1)(2)
공간애플리케이션스튜디오 (1)(2)
모빌리티애플리케이션스튜디오 (1)(2)
미래예측디자인시나리오
서비스디자인기획과실행
창업인큐베이션과프로모션
디지털리터러시
|
2. 이화여대 디자인학부 공간디자인 전공
예술ㆍ기술ㆍ문화 융합이 가속화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21세기 문화콘텐츠 시대의 주역이 될 창의융합 역량을 갖춘 디자이너를 길러내기 위해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부는 기존 학과 간의 벽을 허물고 하나로 통합하였다.
디자인학부는 교내 60여 개 전공 가운데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10개 전공을 선정하여 지원하는 <유망전공 육성사업> 대상으로도 선정되어 교과과정, 교육공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다방면으로 교육환경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같은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디자인의 본질인 예술ㆍ기술 융합 역량을 갖춘 디자이너를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부과정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맞춤형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 스스로 적성에 맞는 진로를 능동적으로 탐색해 나가며 전문성을 갖춘 디자이너로 성장하게 된다.
교육과정은 다양한 디자인 관련 진로군에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소양을 갖추기 위한 공통기초과정과, 세부적인 전문성을 배양하는 심화과정으로 구성된다. 공통기초과정을 이수한 후에는 교수진과의 긴밀한 진로상담을 통해 관심분야에 따른 심화과정 교과목을 자유롭게 수강하며 전문성을 키우게 된다.
http://artndesign.ewha.ac.kr/artewha/53/subview.do
학부
artndesign.ewha.ac.kr
3. 국민대 조형대학 공간디자인학과
다가오는 미래사회에서는 질 높은 생활문화의 추구와 함께 차별화, 첨단과학화, 정보화의 요구가 증대되고, 동시에 인간존중의 삶의 가치도 더욱 중요시될 것이다. 이에 본 공간디자인학과에서는 새로운 생활문화를 창출하기 위한 다각적 인자들을 디자인 해결 요소로 인식하고, 창조적 가치로서의 미에 대한 추구와 아울러 기능 및 기술에 대한 연구 및 교육체계를 갖춘다. 이를 위하여 건축적 제반 요소와 주거, 상업, 문화, 복합 및 공공에 이르는 공간의 제 분야 및 재료, 색채, 가구, 조명 등의 공간 구성 요소에 대한 실질적 실무중심의 교과목을 편성하여 다양하게 확대되어 가는 현대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앞서가는 미래인으로서의 전문인 양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공간디자인학과
#show all #faculty #student #alumni #award #exhibition #research #etc High1 Resort Metaverse Map Competition 2022-10-03 대상 : 강민서 김유빈 김희온 "DAYLILY" ⁕ 하이원리조트에서 주최 및 주관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ksd.kookmin.ac.kr
<커리큘럼>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기초공간제도 CAD/BIM설계 디지털드로잉 디지털모델링 공간디자인론 I 패브리케이션테크닉 I 패브리케이션테크닉 II 공간조형 I 공간조형 II (공통) S-Team Class |
융합디지털모델링 융합디지털렌더링 공간디자인론 II 공간디자인사 공간과그래픽 공간과물성 공간과조명 공간과미디어 공간과오브제 디자인스튜디오 |
디지털지오메트리 공간디자인이슈 가구디자인 가구디자인 캡스톤 가상공간디자인 전시공간디자인 디자인스튜디오 |
공간디자인창업 공간디자인포트폴리오 융합디자인스튜디오 캡스톤디자인 디자인스튜디오 (전학년 공통) 사제동행세미나 |
4.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는 순수 예술 지원의 전공에서 벗어나, 인간과 건물 간의 상호작용을 중점으로 하여 거시적 의미에서의 생활환경 지원 및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춰 합리적이면서도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과 생활 데이터를 디자인 과정에 응용하여 다학제적으로 디자인을 접근할 수 있도록 연습 및 연구하는 것이 본 학과의 비전입니다.
본 학과에서는 실내건축디자이너로서의 기본적인 공간에 대한 계획 및 설계를 실습할 수 있는 기초제도실 및 다목적 실습실이 위치하고 있으며, 기술의 발전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컴퓨터 실습실 및 장비 등으로 교육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실내건축디자인론, 실내건축제도, 2D CAD, 3D 모델링, 창의적 컴퓨팅, VR/AR 디자인 등의 교육과정 또한 제공되고 있습니다. 또한 실내건축디자인학과는 4단계 BK21 (Multi-Intelligent (MI) 공간재생디자인 인재양성팀)으로 선정되어 전시회 작품 출품과 논문 게재 등이 적극 지원 가능한 연구 인프라를 갖추었습니다.
https://interior.hanyang.ac.kr/home
홈 - 실내건축디자인학과
공지사항 [계룡건설] 2022 계룡건설 신입·경력 공개채용 (6/7, 17시까지) ENHANCE YOUR LIFE 2022 계룡건설 신입/경력 공개채용 시대를 앞서 이끌며 새로운 건설문화를 창조해온 계룡건설과 함께할 인재
interior.hanyang.ac.kr
<커리큘럼>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실내건축제도 실내건축디자인론 공간과문화컨텐츠 기초조형1 공간고드로잉과시각화 공간기초스튜디오 실내계획론 |
공간조명과색채 환경행태심리론 건축3D모델링1 공간디자인스튜디오 동서양건축양식사 인공지능과기계학습 근거기반디자인 현대실내건축사 |
실내건축스튜디오 가구디자인과디지털패브리케이션 디지털미디어와디자인 실내공간재료학 디자인경영과캡스톤디자인 디지털디자인과BIM 설비및법규 실내건축스튜디오 피지컬컴퓨팅개론 |
실내건축시공구조및디테일 졸업작품캡스톤디자인 디자인컴퓨팅 디자인아케데믹라이팅 디자인연구 디자인리서치방법론 실무다큐멘테이션 디자인데이터분석 |
5. 덕성여자대학교 실내디자인전공
실내디자인이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을 쾌적하고 능률적이며 아름답게 디자인하는 작업이다.
최근 인테리어 디자인의 영역은 실내공간 뿐만 아니라 건축과 환경, 설치와 디스플레이까지 확대되고 있다.
실내디자인전공은 국제적 감각의 디자이너 배출을 목적으로, 창의력과 문제해결 능력의 배양을 위하여 다양한 주제의 스튜디오를 개설하고 있으며 산학교류와 국제교류의 활성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https://www.duksung.ac.kr/interior/main.do
덕성여자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www.duksung.ac.kr
<커리큘럼>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 |
색채심리와디자인
인테리어디자인
세미나
온오프라인숍
인테리어 코디네이션
공간디자인 스튜디오
디자인현장워크숍
공간조형
CAD와 제도
인테리어 캐드
|
가구디자인
디자인상품개발
캡스톤디자인
VM디자인프로젝트
재료와 조명
공간기획프로젝트
융복합공간 스튜디오
디자인 실무워크숍
인테리어 CAD 3D
인테리어 3D 모델링
|
졸업작품프로젝트
졸업전시스튜디오
컨셉디자인프로세스
|
6.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 시각&실내디자인학과
디자인은 인간 삶의 질을 결정하는 직접적인 요소로써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복지에도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특히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시대에서는 정보전달체계 상의 각종 시각매체와 인간과의 관 계를 더욱 밀착시키고, 인간과 인간의 생활환경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주거 및 상업공간, 공공공간등 공 간과 인간과의 관계를 개선하는데 중추적인 있어서 시각디자인과 실내디자인이 역할을 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생활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각종 매체를 통한 입수와 함께 주변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디 자인을 필수적인 요소로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기업들은 기업 이미지 관리와 제품 및 서비스 이미지의 질 적 향상을 위하여 개발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유통 및 판매 환경에서도 디자인을 필수적인 경쟁도구로 인식하고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시각 및 실내디자이너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디자이너에 대한 요구 수준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본 시각&실내 디자인 전공과정은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시각디자인과 실 내 디자인으로 분야의 전문지식과 기법을 습득함으로써, 국가 및 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와 인간 생활의 질 적 향상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여성 전문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데 교육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시 각&실내디자인 전공에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교수진이 체계적인 교과과정을 바탕으로 교육하 고 있으며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동을 통한 실무능력 배양 및 디자인 관련 현장의 견학, 답사 등을 통한 현장 밀착 교육도 함께 이루어진다.
졸업 후의 진로는 광고 디자이너, 출판 디자이너, 아이덴티티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패키지 디자이 너, 프로모션 디자이너, 인테리어 디자이너, 인테리어 코디네이터, 디스플레이 디자이너, 전시공간 디자이 너, 공공공간디자이너, 가구 디자이너, 생활용품 디자이너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디자이너로서 광범위하게 활동하게 된다.
https://www.dongduk.ac.kr/kor/edu/videsign_1.do
동덕여자대학교
www.dongduk.ac.kr
<커리큘럼>
전공필수 |
전공선택
|
디지털 발상과 표현 기초디자인론 디자인사 디자인과 색채 |
표현기법 디자인제도 인포메이션그래픽 컴퓨터그래픽스 그래픽디자인 3D모델링 패키지디자인 전시환경디자인 졸업프로젝트 시각디자인기초 가구와 조명 재료와 구조 문화공간디자인(캡스톤디자인)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시니어디자인프로젝트(캡스톤디자인) 베이직디자인 디자인과 조형 타이포그래피 출판디자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 광고디자인 디자인창업세미나 디자인프리젠테이션기법 공간과표현 실내디자인스튜디오 실내공간구조 실내디자인실무 디자인공예교육론 디자인공예교과교재 연구및지도법 디자인공예논리및논술 |
'교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수 방학 그리고 방학 때 연구실 가기 (0) | 2023.02.10 |
---|---|
[양평 가볼만한 곳] 용문사 1000년 된 은행나무에서 소원을 빌다. (0) | 2023.02.08 |
[디자인 전공 학술지 TOP 5] 공간/공공/산업디자인 국내 KCI 학술지 (0) | 2023.02.05 |
퍼스트 펭귄을 아시나요? (2) | 2023.02.05 |
대학 교수 임용 발전계획서 평가항목은 '온우주' (0) | 2023.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