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리뷰

김승호 회장에게 배운 알면서도 알지못하는 것들


돈이 전부는 아니지만 돈이 없어 쩔쩔매본 사람이라면 돈이 세상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안다.
돈이 있으면 시간을 살 수 있다. 멋진 일을 할 수 있는 시간,
혹은 그 돈으로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을...


만족이란?

만족이란 다음과 같다.

1. 사람들 사이에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

2. 게으름을 미화

3. 성장을 가로막고 무관심을 조장

4. 지능과 능력을 위축시킴

5. 만족의 희생물은 자신이 고귀하고 선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

 

돈이 없는 사람들은 그런 말을 한다. 이 정도면 만족한다고. 이제 만족이라는 단어를 쓸 때조차 주의를 기울여야겠다.

 

돈에 대한 잘못된 판단

나쁜 사람->돈->나쁜 돈으로 귀결

선한 사람->돈->선한 곳, 선한 영향력으로 귀결

 

대부분 이슈가 되는 것은 선한 사람의 돈 보다 나쁜 사람의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매스컴에 나오는 수많은 나쁜 돈 이슈를 접하며 돈 많은 사람들은 다 사기꾼, 내 재산을 갉아먹는 인간들로 치부하는 심각한 오류에 빠진다.

하지만 재밌는 것은 돈이 많은 사람들은 절대 그런 말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돈이 많으면 여행을 갈 수 있고 타지의 생활들을 통해 경험해보지 못한 모험욕구가 생겨 새로운 것을 배우게 된다.

일하는 노동시간에 공부를 할 수 있고 자기 계발과 운동 등을 하며 천천히 늙어가는 것이다.

또 가족들과 더 여유 있고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을 많이 만들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람이 힘들게 돈을 벌고 지친 모습을 보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겸손해야 한다는 것은

흔하게 쓰는 '겸손'이란 단어에 대한 것인데, 돈이 없는 데 겸손한 것과 돈이 많은데 겸손한 것은 다르다.

돈이 많은 이들에게 재산은 의무를 부과하여 덜 가진 사람들에게 봉사하라는 하늘의 뜻이다. 많은 재산은 그 임자에게 일생 동안 사회를 위해 이바지해야 한다는 의무를 지우는 신성한 자산이다. 내가 나눌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야한다. 늘 베풀고. 베푼만큼 더 크게 내게 돌아온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다.

반면 돈이 없는 데 겸손하다는 것에 관심 가져줄 만한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신조를 바꾸면 원하는 결과를 얻는다.

대부분 가난한 사람들은 '내가 돈이 없는 이유'에 대해 나는 그 정도의 소망이 없고, 그 정도의 능력과 지능이 없고, 의지가 없어서 일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러한 감정의 장애물이 돈이 없게 하는 것들이다.

즉, '내가 돈이 없는 이유'에 대해 두려움을 없애고, 죄의식에서 벗어나고, 수치감, 분노, 자신감 상실과 같은 감정의 장애물을 없애고

생각의 변화가 되었을 때 돈은 내게 온다. 참 단순한 것이었다. 생각만 바꾸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돈에 대한 관점, 나의 신조를 바꾸는 것을 시작하는 것이야 말로 부자로 가는 길이다.

잘못된 신조란, '성공은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거나  절제와 고난의 대가'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진정한 성공은 열정과 정열, 존재의 가벼움에서 시작되며 '돈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하는

나의 생각의 감정이 부자를 결정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