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수 이야기

사립대학교 총장 연봉은 얼마일까?

사립 일반대 143개 평균 총장 연봉은 1억6천만 원

지난 2022년 10월 교수신문에서 발행한 기사를 포스팅해본다.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경기 오산)은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21년 전국 사립 일반대 및 전문대 총장 연간 급여 현황’을 5일 공개했다. 143개 사립 일반대 평균 연봉은 1억6천만 원으로 조사되었는데, 이 중 4억 원 이상은 2개 대학, 3억 원대는 4개 대학, 2억 원대는 17개 대학이고, 1억 원 이하도 15개 대학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 일반대학교 총장 최고 연봉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경동대학교가 4.3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백석대가 4.2억원, 포항공대(3.7억 원), 한림대(3.4억 원), 초당대(3.4억 원), 을지대(3.2억 원)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지난 4일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 출석을 피하기 위해 도피성 출장 의혹을 받고 있는 국민대와 숙명여대 총장의 연봉은 각 1.9억 원, 1.2억 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총장 연봉이라는 것이 당연히 적게 받아야 마땅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최근 수도권 대학을 포함한 지방대학교의 재정에 어려움을 토로하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액수는 일반인이 듣기에는 다소 불편한 것은 사실이다. 어느 학교의 총장님은 본인의 연봉의 30%를 학교의 운영에 쓰기 위해 자진 반납하는 경우도 있다. 학생들에게 다양한 수업의 기회를 늘리고 양질의 기자재를 사용하는 것들과 교직원들의 교육 등에 힘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사립 전문대 120개 대학 평균 총장 연봉은 1.6억 원

사립 전문대 총장 최고 연봉은 충남 천안에 위치한 백석문화대가 4.2억 원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경상북도 영천시에 위치한 성운대학교가 3.7억 원,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농협대 3.1억 원, 대구보건대(3억 원), 영진전문대(3억 원), 대경대(3억 원) 순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4억 원 이상은 1개 대학, 3억 원대는 5개 대학, 2억 원대는 25개 대학이고, 1억 원 이하도 11개 대학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대학운영 부실로 인해 교육부로부터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지정된 대학 중 자료를 제출한 사립 일반대 및 전문대 22개 대학 총장 평균 연봉은 1.1억 원으로 나타난 점은 참으로 아이러니 하다. 일부 학교에서는 교직원 월급도 몇 개월째 밀린 곳들이 많기 때문이다. 최고 연봉은 서울지역 A대학, 강원지역 B대학, 경남지역 C대학, 경북지역 D대학이 1.7억 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통계 자료를 조사한 안민석 의원은 “사립대 재정이 어려운 가운데 총장의 3~4억 원대 연봉이 국민 눈높이와 학내 구성원의 동의를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가장 중요한 학생 교육과 취업 그리고 대학 발전이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부실대를 비롯해 경영 위기 대학이 대학 발전과 재정을 외면한 채 고액의 급여만 받아서는 안 된다”라고 지적했다. 대학에 속한 교원의 한 명으로 대학의 위기를 가장 가까운 일선에서 체감하고 았다. 하루하루 불안하고 나 역시 N잡러의 삶을 살아가야 함을 느낀다.

 

위기의 시간을 지나서

과거에 초등학교 한 반에 인원이 60~70명 정도 될 때가 있었다. 나역시 그런 시간을 지나왔다. 하지만 지금은 어떠한가? 소수 규모로 초등학교 한번에 20명도 채 안되는 인원으로 운영되지만 초등학교 재정이 어려움을 토로한다는 기사는 들어본 적이 없다. 이렇듯 고등교육기관인 대학도 현재의 위기를 교육부와 함께 잘 이어내서 소규모로 운영되는 대학으로 정착이 되길 소망한다.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로 이러한 기사로 인해 많은 대학의 총장님들에게 색안경을 쓸 필요는 없을 것이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총장의 나이도 점점 젊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신문화를 계속 받아들이거나 학생과 교원들과 소통을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는 총장님들이 훨씬 많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학의 재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립대에서는 반드시 긴축 재정을 통한 도약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