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리뷰

지금 유튜브를 해야 하는 이유 TOP 3

안녕하세요? 오늘은 구글에서 월급 받기 '구글 애드센스 마케팅' 저자 박영훈/윤중훈, 경향 BP 도서 리뷰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아직도 유튜브 안하시나요?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학창시절에 공부를 좋아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해도 잘 안 되고, 왜 해야 하는지도 모르는데 해야만 한다고 하니 스트레스가 쌓인다. 2019년 초 인기리에 방영된 드라마 '스카이 캐슬'도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가 극에 댤하는 모습과, 이들이 왜 공부해야 하는지 명확한 이유 없이 부모가 자식에게 본인이 생각하는 '성공'이라는 굴레를 위해 채찍질하는 모습이 현대의 입시교육을 풍자하면서 시청자들에게 공감을 얻었다. 이는 사회에 나와서 일을 해도 마찬가지다. 상당히 많은 사람이 회사에서 일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 그래서 일과 삶의 균형을 원하는 신조어 '워라밸'이라는 단어까지 나왔다. 이렇게 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하고 싶은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성취감을 느껴야 메너리즘에 빠지지 않을 수 있는데, 대부분의 직장인은 퇴근 후에 하는 취미생활로 이런 부분을 해소하고 있다. 다행히 최근 1인미디어 시대가 됨에 따라 자신의 취미생활을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수많은 사람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개인 브랜딩이 가능하다

회사에서 사람을 뽑을 때는 크게 2가지를 기준으로 삼아 왔다. 바로 '학력'과 '경력'이다. 이것만 담은 자기소개서만으로 사람을 판단하고 일을 잘 할지 못할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알기가 무척 어려울 것이다. 유튜브가 등장하고 나서는 취업 방식에도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 필자의 지인 중에 평소에 개인 유튜브 채널을 관리하면서 동영상 편집을 하는 사람이 있는데, 성형외과 마케팅팀장으로 스카우트되었다. 실제로 많은 회사에서 관련 정보를 리뷰해 줄 유튜버들을 모집하고 있다. 이전에는 SNS가 이런 역할을 했다. 앞으로는 유튜브가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자신이 어떤 것에 '강점'이 있는지, 세상에 보여 줄 수 있는 훌륭한 도구가 바로 '유튜브'가 아닐까 싶다.

돈을 벌 수 있다

많은 사람이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 돈 걱정 없이 원하는 것을 하며 살고 싶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제적 자유를 얻기는 쉽지 않은데, 그 본질은 '돈'걱정에 있다.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지 못하고 대부분 억지로 일을 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돈'문제도 중요한 요인이다. 예전에는 오타쿠(한 분야에 열중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았다. 그리고 '덕질'이라고 해서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 심취하여 그와 관련한 것들을 모으거나 찾아보는 행위를 하는 사람은 소위 아웃사이더로 분류되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은 '덕업일치(덕질과 일이 일치했다는 의미)'라고 해서 소위 덕질도 돈이 되는 시대가 되었다. 게임을 하는 장면으로 돈을 벌 수도 있고, 맛있는 것을 먹는 것으로도 돈을 벌 수 있고, 심지어 아무 의미 없어 보이는 영상들로 돈을 벌기도 한다. 수박 자르기, 일상생활 공유, 장난감 가지고 놀기 등을 넘어서 운전하는 영상이나 공부하는 모습을 찍어서 올리기도 하고, 자신이 기르는 반려동물을 데리고 영상을 찍어 사람들에게 공유해서 돈을 벌기도 한다. 이렇듯 유튜브로 돈을 벌 수 있게 되었다는 것 자체가 예전을 생각하면 가히 '혁명적'이라고 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모든 사람이 큰돈을 쉽게 번다고 생각하고 접근하면 안 된다. 유튜브가 큰돈을 벌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플랫폼일 수는 있어도 그것이 모든 사람에게 해당한다고 착각하면 안 된다. 그렇지만 월 10만 원, 원 100만 원 정도의 현실적인 금액은 많은 사람에게 가능하다. 이것은 많은 학생과 직장인에게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전 세계 유튜브 구독자 순위

1위 : PewDiePie (게임 채널)

퓨디파이는 게임 전문 방송 채널이다. 국내에서 유튜브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그의 추정수입은 연간 1,550만 달러로 국내 환율로 계산하면 약 174억 9,174만 원 정도 된다.

 


2위 : T-series (음악 채널)

인도 뮤직 비디오 등이 많이 올라와 있는 티시리즈는 인도 최대 음악회사로서 2006년부터 유튜브 활동을 시작했고, 최근 인도의 스마트폰 사용자 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급격하게 구독자 수가 늘어나고 있다. 인도는 인구 13억 명 중 3억 명가량이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고 성장 속도가 가팔라서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된다. 일례로 인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플립카트의 할인행사에서는 하루에 스마트폰이 무려 300만 대나 팔리고 있다고 한다.

 


3위 : 5-Minute Crafts (How-to채널)

How-to채널 분야로서는 전 세계 1위 채널이며, 국내 및 해외 언론에서도 많이 보도되는 화제의 채널이다.

 


4위 : Justin Bieber (엔터테인먼트 채널)

저스틴 비버는 유튜브로 유명해진 스타이다. 2007년에 개설된 채널이다.


5위 : Canal KondZilla (음악 채널)

2012년에 개설된 채널로서 뮤직 비디오 등이 많이 올라오고 있다.